• 사는이야기

    이건 과연 누구를 위한 유세인가?

    밀양시에서 가장 번화가라고 하는 밀양관아앞 – 다음지도에서 밀양관아앞으로 검색하면 나오는 내일동행정복지센터 바로 맞은편 건물. 민주당 밀양.의령.창녕.함안 지역위원장인 우서영위원장이 지난 22대 총선 때 국회의원 후보로 나왔을 때 그 건물에 대형 현수막을 설치했었다고 한다. 그 건물에 이번에는 이재명후보의 현수막을 설치했다(현수막 걸린 사진이 따로 없어서 김문수후보의 유세사진을 가져옴). 밀양에서 유세를 하기로 한 김문수후보는 이런 사실을 알 수 없었을테고, 국민의힘 밀양지역 국회의원이나 지역 담당자들이 확인을 하고 장소를 잡았어야 되는데 확인도 없이 번화가라는 이유로 자리를 잡은 것 같다. 언론 기사에 실린 사진들을 몇 장 보자. 이재명후보가 굽어보는 아래에서 이재명후보를 보고 인사하는 듯 찍힌 사진, 이재명후보를 연호하는 듯 찍힌 사진 등. 누구를 위한 유세인지. ㅋㅋㅋ 어처구니없는 일은 이곳 말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듯 보인다. 김문수후보 유세차량에서…

  • 사는이야기

    21대 대통령선거 후보 명단

    윤석열 탄핵으로 인해 시작된 21대 대통령선거 후보 등록이 오늘 끝났다. 선관위에 등록한 후보는 총 7명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4월 4일 탄핵선고 후 5월 11일까지 시간이 길지 않아서 그랬는지 이전 대선과는 달리 후보가 좀 적은편이었다. 민주당의 압도적인 지지로 선출된 이재명이 1번이고, 5월 8일부터 10일까지 별의 별 사건이 난무하는 과정에서 확정된 김문수가 2번, 3번은 없고(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서), 개혁신당에서 단독 예비후보로 출마한 이준석이 4번을 받았다. 민주노동당(옛 정의당)에서 출마한 권영국이 5번을 받고, 부정선거론에 푹빠진 황교안이 무소속으로 등록해 7번을 받았다. 맨날 부정선거 타령을 하는 황교안은 왜 이 선거판에 뛰어들었는지 속내가 궁금하다. 25일에 투표용지를 인쇄한다는데 그 전에 김문수와 단일화라도 하려는걸까? 하여튼 후보가 정해졌으니 이재명후보의 안전에 최고의 주의를 기울여서 압독적인 승리를 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 사는이야기

    국민의힘이 날뛰는 이유가 뭘까?

    국민의힘 내란세력이 이렇게까지 한덕수를 밀어붙이는 이유가 뭘까? 정상적으로 대선이 이루어진다면 국민의힘에서 어떤 후보를 내더라도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는 건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그런데도 한덕수를 대통령 후보로 밀어붙여야 되는 이유가 뭘까? 생각해볼 수 있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대통령에 당선되지 못하더라도 다음 당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대선에서 지면 진 지도부는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게 지금까지의 관례였고, 당원들 또한 그 지도부를 그대로 두고싶어하지 않으므로 지도부는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없다. 아무리 얼굴에 철판을 깔았더라도 당원들의 요구를 뭉갤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이 이유는 의미가 없다. 그럼 두번 째 이유는 무엇일까? 국민의힘에서 다시 대통령을 만들 수 있는 카드가 있다는 것이다. 그것도 김문수가 대통령이 되는 것보다 반드시 한덕수가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는 뜻이다. 이런…

  • 사는이야기

    대선 앞두고 위법.월권.코미디 국민의힘

    국민의힘은 12.3 비상계엄으로 시작된 내란과 얼마나 깊은 관계를 맺고 있기에 역사에 듣도보도못한 이런 일을 저지르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1차, 2차, 3차에 걸친 경선 끝에 김문수를 대통령선거 후보로 결정했다. 기사 보러 가기 : 김문수, 당심 22%p·민심 3%p차 승리…’한덕수 단일화’ 기대 반영 김문수가 경선에서 내세운 것 중 하나가 한덕수와의 단일화였고, 한덕수는 김문수가 당선되자마자 단일화를 당에 맡기겠다고 했다. 기사 보러 가기 : 한덕수 “김문수와 단일화, 아무 조건없이 다 받아들일 것” 그런데 국민의힘에서는 김문수에게 선대위 구성도 하지않고, 후보에 맞는 대우도 하지 않으면서 단일화 압박만 했다. 김문수는 단일화를 하지 않겠다고 한 것도 아닌데 단일화 압박만 하냐며 반발을 한다. 기사 보러 가기 : 김문수, 국힘에 세 가지 요구 전달…”집행돼야 단일화 진행” 이후 5월 7~9일까지…

  • 사는이야기

    한화 이글스 26년만에 10연승

    5월 13일 추가 두산에게 연장전끝에 3:4로 져서 13연승에 실패했다. 내일부터 다시 시작하자. 5월 11일 추가 오늘도 키움을 상대로 8:0으로 이겨서 12연승에 성공했다. 14연승까지는 33년 만에 달성한 것. 5월 10일 추가 오늘도 키움을 상대로 9:1로 이겨서 11연승에 성공했다. 11연승은 33년 만에 달성한 것. 한화 이글스가 오늘 키움전에 승리하면서 26년만에 10연승을 기록했다. 한화 이글스의 10연승을 축하합니다. 경기 초반인 1, 4회에 솔로홈런 4방을 맞으면서 분위기가 싹 식어서 9연승에서 끊어지나보다하고 있었는데 7회에 4:4까지 따라붙었고, 이어 9회초 마지막 공격에서 문현빈의 솔로 홈런을 시작으로 3점을 뽑으면서 경기를 역전시켰다. 이제는 지고 있어도 진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지는게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가 되었다. 오늘 다른 경기가 모두 우천으로 취소되어 고척돔에서 열린 한화와 키움의 경기뿐이어서 네이버 프로야구 뉴스는 10연승 소식으로…

  • 사는이야기

    민주당 21대 대통령선거 후보결정

    윤석열 파면으로 인한 조기 대통령선거의 민주당 후보가 결정되었다. 2주간에 걸친 민주당 권리당원, 대의원, 재외국민 투표와 국민경선의 결과가 오늘 나왔다. 89.77%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이재명 예비후보가 대선 후보가 되었다. 지난 당대표 선거에서 얻은 85.18%보다도 더 높은 지지를 받았다. 권리당원 투표수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투표율 충청권 110,131 63,460 55,948 2,736 4,776 57.62% 88.16% 4.31% 7.53% 영남권 100,299 71,065 64,737 4,020 2,308 70.85% 91.10% 5.66% 3.25% 호남권 371,105 198,885 176,404 7,736 14,745 53.59% 88.70% 3.89% 7.41% 수도권강원.제주 541,848 344,372 315,636 10,047 18,689 63.56% 91.66% 2.92% 5.43% 계 1,123,383 677,782 612,725 24,539 40,518 60.33% 90.40% 3.62% 5.98% 대의원 투표수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투표율 충청권 1,732 1,270 1,109 54 107 73.33% 87.32% 4.25% 8.43% 영남권 3,053…

  • 사는이야기

    비상계엄부터 파면까지

    20024년 12월 3일 – 윤석열 위헌, 위법적인 비상계엄 선포 헌법기관인 국회에 707 특임단과 공수부대 투입 국회 주변에 등장한 장갑차? 군 전술차량? 헌법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군 투입 국가적 경사인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도 계엄으로 인해 묻혀버렸다. 국회의 탄핵소추 투표에 아예 참여하지 않음으로 인해 탄핵투표가 아예 불성립되었다. 2차 탄핵소추 투표가 있던 날 탄핵을 찬성하는 시민들이 여의도를 가득 채웠다. 농민들의 트랙터 시위를 경찰이 막아서자 시민들이 그 추운 겨울밤을 새며 경찰에 맞섰다. 그 후 윤석열이 내란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되었지만 체포영장집행을 방해하자 다시 시민들이 나서 추운 겨울 눈오는 밤을 새기를 며칠. 키세스단이 된 우리 시민들. 권한대행의 권한 남발로 인해 나라는 더 수렁으로 빠져 들었고… 결국, 헌재에서 파면이 확정됐다. 윤석열 한 사람 때문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왕창 무너졌다.…

  • 사는이야기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요지 (전문)(2025년 4월 4일)

    지금부터 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를 시작하겠습니다. ▣ 먼저, 적법요건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➀ 이 사건 계엄 선포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는지에 관하여 보겠습니다. 고위공직자의 헌법 및 법률 위반으로부터 헌법질서를 수호하고자 하는 탄핵심판의 취지 등을 고려하면, 이 사건 계엄 선포가 고도의 정치적 결단을 요하는 행위라 하더라도 그 헌법 및 법률 위반 여부를 심사할 수 있습니다. ➁ 국회 법사위의 조사 없이 이 사건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점에 대하여 보겠습니다. 헌법은 국회의 소추 절차를 입법에 맡기고 있고, 국회법은 법사위 조사 여부를 국회의 재량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법사위의 조사가 없었다고 하여 탄핵소추 의결이 부적법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➂ 이 사건 탄핵소추안의 의결이 일사부재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보겠습니다. 국회법은 부결된 안건을 같은 회기 중에 다시…